관련 강좌_텍스트 감싸기 적용된 '이미지 위에 글자 넣기' https://hellojes20.tistory.com/58
편집하다 보면 글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그림도 많이 사용합니다.
글과 이미지를 따로 쓸 때도 있지만 글 중간에 이미지를 넣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글 위에 이미지를 가져오면 이미지 아래의 글들은 안 보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늘은 글 위에 이미지를 가져왔을 때 글자들이 이미지를 피하며 배열되는 텍스트 감싸기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텍스트 감싸기는 메뉴바에서 '창→텍스트 감싸기'를 눌러서 패널을 따로 빼서 사용하셔도 되고 속성 창에서 텍스트 감싸기 부분에서 설정하셔도 됩니다.
위 사진에서처럼 이미지를 불러와 글 시작 부분에 위치시켜 놨습니다. 보면 글들이 이미지 아래에 있어서 안 보이고 글이 잘렸습니다.
이미지를 불러왔을 때 텍스트 감싸기는 기본으로 첫 번째 아이콘 '텍스트 감싸기 없음'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적용할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고 두 번째 아이콘 '테두리 상자 감싸기'를 눌러주면 이미지 아래 있던 글들이 이미지 밖으로 나와서 이미지를 감싸며 텍스트가 배열됩니다.
인디자인 텍스트 감싸기에서 가장 많이 쓰는 감싸기입니다.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고 세 번째 아이콘 '개체 모양 감싸기'를 눌러주면 위 사진처럼 프레임 박스 안에 있는 이미지가 선택됩니다.
텍스트 감싸기는 프레임 박스에도 적용되지만 프레임 박스 안에 있는 이미지만 선택해도 적용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레임 박스를 선택하고 텍스트 감싸기를 적용합니다. 이미지를 선택하려면 프레임 박스에서 한 번 더 들어가야 해서 헷갈리므로 대부분 프레임 박스에 감싸기 값을 줍니다.
그럼 이 세 번째 '개체 모양 감싸기'는 왜 있는 거냐 의문을 가지실 거예요. 세 번째 '개체 모양 감싸기'는 원형 감싸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있는 기능입니다.
원형 프레임일 때 이 기능을 눌러주면 안에 있는 이미지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밖에 있는 프레임에 적용됩니다.
그리고 원형 프레임에 두 번째 '테두리 상자 감싸기'를 적용한다면 원형이 아니라 사각형 모양으로 텍스트가 감싸 집니다. 그래서 원형은 꼭 세 번째 '개체 모양 감싸기'로 적용해 주셔야 합니다.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고 네 번째 아이콘 '개체 건너뛰기'를 누르면 위 사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글자가 이미지 양 옆을 피해 배치됩니다.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고 다섯 번째 아이콘 '다음 단으로 이동'을 누르면 이미지 아래 단을 공백으로 비워둡니다.
저는 가끔 글 마치는 부분에 이미지가 들어갈 때 쓰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글 중간에 이미지가 들어갈 경우 위 사진처럼 글자들이 이미지에 너무 붙어서 보기에 좋지 않습니다.
이럴 때 이미지 주위에 글자들이 붙지 않도록 간격을 주어야 좋습니다. 이 기능을 오프셋이라고 합니다.
위 사진에 보면 상, 하, 좌, 우에서 몇 mm 간격을 줄 것인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 면을 한 번에 설정할 수도 있고, 한 면씩 원하는 면에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오프셋 중간에 연결고리 모양이 있습니다. 이 연결고리 모양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있는데 한 번 클릭하면 풀립니다.
연결고리가 사진처럼 활성화되어있으면 아무 데나 간격을 주어도 상, 하, 좌, 우 모두에 적용되고, 연결고리가 풀려있으면 상, 하, 좌, 우 중에서 원하는 면에만 간격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위 사진처럼 이미지를 넣고 싶을 때 연결고리를 풀고 위, 아래, 오른쪽만 오프셋 간격을 적용했습니다.
그리고 팁을 하나 드리자면, 보통 글 사이에 이미지를 넣을 때 위, 아래보다 왼쪽이나 오른쪽 글이 더 이미지에 붙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위, 아래에는 줄 간격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줄 간격이 있기 때문에 오프셋 간격을 동일하게 주어도 위, 아래는 더 넓어 보이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러한 현상이 보일 때는 이미지 프레임 박스 크기를 글자 사이에 맞춰 잘 조절하시거나, 위 사진의 저처럼 위, 아래보다 왼쪽, 오른쪽 오프셋 간격을 더 많이 주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프셋 간격에 변형을 주고 싶을 때는 선택 도구로 이미지를 선택한 다음 직접 선택 도구를 클릭해 주면 위 사진 오른쪽처럼 한 포인트씩 잡을 수 있는 점이 생깁니다.
변형하고 싶은 점을 잡고 드래그하여 위치를 변형할 수 있습니다. 또는 펜 도구로 점을 찍어 직접 선택 도구로 모양을 변형하여 오프셋 간격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인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디자인 강좌_텍스트 감싸기 적용된 이미지 위에 글쓰기 (2) | 2020.02.28 |
---|---|
인디자인 강좌_페이지 단 설정과 텍스트 박스(문자 상자) 단 나누기 (1) | 2020.02.26 |
인디자인 강좌_검은색 구분하기 (0) | 2020.02.25 |
인디자인 강좌_색상, 색상 견본 추가 사용법 (1) | 2020.02.24 |
인디자인 강좌_텍스트(글자) 색 바꾸기, 텍스트(글자) 두께 조절 (3) | 2020.02.23 |